가끔 가슴이 뜨거워지고 함께 속쓰림, 가슴통증, 구역질, 식욕부진, 두통과 입에서는 시큼하고 씁쓸한 맛이 느껴지는 경험 해보셨나요? 또한, 침을 삼킬때 목에 무언가 걸린 듯한 이물감이 느껴지고 기침이 계속 나오기도 합니다. 이러한 증상이 계속 된다면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11명당 1명꼴로, 특히 20~40대 젊은 환자가 경험해 본 '역류성 식도염' 증상과 원인 및 치료방법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역류성 식도염이란?
역류성 식도염에 대해 알아보기 전에 먼저 소화는 어떠한 단계를 거쳐 진행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음식물을 삼키면 음식물은 식도를 지나 위에 도착하게 됩니다. 위는 위산을 분비하여 음식물을 분해하게 됩니다. 이 과정에서 위산과 음식물이 식도를 타고 다시 역류하게 되면 식도가 자극을 받게되며, 염증이 생기고 불편한 증상이 지속되게 됩니다. 이러한 증상을 역류성 식도염이라고 부릅니다. 즉, 역류성 식도염은 위에서 나오는 위산이 식도로 역류하여 식도에 염증을 유발하게 되는 질환입니다.
역류성 식도염 원인
역류성 식도염 원인은 다양합니다. 대표적으로 소화 기능이 떨어져 위에서 음식물이 쪼개지는 과정이 오래 걸리고 머물면서 식도 쪽으로 역류하거나, 또는 식도 기능이 저하되어 역류된 위산을 다시 내려보내지 못하는 경우가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하부식도 괄약근인 식도와 위 사이 근육의 압력으로 가장 많이 발생하게 됩니다.
또한, 역류성 식도염의 염증으로 식도가 점점 좁아지면서 식도에 통증이 느껴지거나 열감 등의 증상이 동반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은 일반적으로 식사 후 누워있는 동안 더욱 심해질 수 있으며, 식도 염증을 그냥 방치하게 되면 식도 출혈, 궤양 그리고 식도암까지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역류성 식도염이 의심되면 병원에 방문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치료 방법
역류성 식도염 치료방법은 다양합니다. 일반적으로 역류성 식도염 증상의 심각성과 원인에 따라 치료방법이 다양하게 사용됩니다. 먼저 불편감을 완화해주기 위해 약물 치료를 고려해볼 수 있습습니다. 대부분 위산 억제제를 사용합니다. 약물 복용으로도 증상이 개선되지 않거나 부작용이 생기는 경우에는 내시경 시술 또는 점막하 절제술 등의 시술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역류성 식도염은 비만과 관계가 깊어서 역류성 식도염이 생기면, 적절한 운동과 식이요법을 병행하여 체중 조절을 할 필요가 있습니다. 단, 음식 먹은 뒤 적당한 텀을 두고 천천히 운동을 하며 강도를 높여가는 것이 좋습니다. 흡연 또한 좋지 않으니 자제하거나 금연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심각한 경우에는 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그 중 복강경 수술은 큰 부작용 없이 안전하게 시행할 수 있는 수술방법으로 약물치료와 비교했을 때 장기적으로 좋은 결과가 있다고 보고된 바 있습니다. 이처럼 역류성 식도염의 치료방법은 다양하게 있으며,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본인의 증상과 진행상황에 따라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